이슈들

평택 럼피스킨병 확진으로 '럼피스킨병 관련주' 찾으시는 분들 결과만 보여드립니다.

Entkommen 2023. 10. 25.
728x90

평택에서 럼피스킨병 확진이 발견되었습니다.

 

럼피스킨병에 관해 설명을 먼저 드리고,

이것이 어째서 아래 5개의 관련주들과 연관이 되는지 설명드리도록하겠습니다. 

 

소의 전신에 혹이 나타나는(lumpy) 피부병이라서 lumpy skin 병이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1종 가축전염병에 해당합니다.

 

모기나 흡혈곤충,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 혹은 사료 등으로 전염이 되기 쉽습니다.

전염력도 매우 강해 구제역과 같은 제1종 가축전염병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1930년대에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처음 발견되었습니다만, 이후에 전세계로 천천히 퍼져나갔습니다.

이제서야 한국에서 처음으로 확진 사례가 보고 되었습니다. 

 

 평택 럼피스킨병 확진,  럼피스킨병 관련주가 떠오르고 있습니다. 

출처 : wikipeda 'Lumpyskin disease'

우선 아래 5개의 종목들이 관련주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아래 주식은 종목추천이 아니며, 단순히 정보 공유차원의 포스팅임을 미리 상기시켜드립니다.

저는 이전에 초전도체도 그랬지만 이런식으로 오르는 주식에 진입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저는 기술적으로 좋다고 생각됨과 동시에 꾸준히 상승추세에 있는 종목을 노리는 추세추종 투자자이기 때문에 아래 종목들의 경우 하락추세에서 반짝 상한가 찍은 것으로, 저에게는 그렇게 매력적인 주식은 아니었습니다. 

 

단순히 정보공유차원에서 아래 종목들에 대한 저의 생각을 짧게 덧붙여 서술하겠습니다.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독자의 손실과 이득과는 무관함을 미리 밝힙니다. 

 

 

 

5종목(대성미생물, 이글벳, 중앙백, 우진비앤지, 진바이오텍)  

 

1. 대성미생물

http://www.dsmbio.com/index/s1/s1_2_1.php

 

(주)대성미생물연구소

 

www.dsmbio.com

축산 관련 회사로 이번에 연관되어 상한가를 한번 찍고 내려오는 모양새입니다.

 

 

 

2. 이글벳

 

 

마찬가지로 동물의약품과 관련된 회사로 상한가 찍고 내려오는 모양새입니다. 

 

https://www.dailyvet.co.kr/news/industry/158152

 

이글벳 신규 CI·BI 공개…“글로벌 동물의약품 기업으로 도약할 것”

동물의약품 제조, 판매 및 프리미엄 사료 공급 전문기업 이글벳(대표이사 강태성)이 CI(Corporate Identity) 변경과 반려동물 사업 부문 BI(Brand Identity)를 새롭게 제정했다고 밝혔다. 이글벳의 CI와 BI는

www.dailyvet.co.kr

 

 

 

3. 중앙백신

 

 

 

해외에도 지사가 있는 동물백신 전문 연구기업이라고 소개되어있습니다. 차트 자체도 다른 종목들과 대동소이합니다. 

 

 

 

http://www.pigpeople.net/mobile/article.html?no=9332

 

[돼지와사람] 중앙백신연구소, 국내 최초 IHS 마킷 선정 '최고 기업' 수상 쾌거

중앙백신연구소(대표 윤인중)가 'IHS Markit(이하 IHS 마킷)'의 '애니멀 헬스 어워즈 2020(Animal Health Awards 2020)' 시상에서 아시아·오세아니아 부문 최고 기업으로 선정됐습니다. 국내 기업으로는 최초

www.pigpeople.net

 

 

 

 

4. 우진비앤지

동물 백신은 물론이고 펫푸드 영역까지 들어가는 기업으로 나옵니다. 

차트 모양은 대동소이합니다. 

 

https://m.sentv.co.kr/news/view/574076

 

 

 

5. 진바이오텍

 

동물들 가축들의 사료를 전문 생산하는 기업으로 보입니다. 

역시 위 종목들과 대동소이한 차트의 모양새입니다. 

 

http://www.sisanewsz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20

 

(주)진바이오텍 이찬호 대표 - 종합시사매거진

      

www.sisanewszine.co.kr

 

 

개인적인 의견

 

위에서 거듭 말씀드렸지만, 지난 번에는 초전도체 혹은 정치인들과 연관된 정치인 테마주 등 

매번 시장에 움직임을 주는 테마들은 계속해서 생성되기 마련입니다. 

 

중요한 것은 그러한 테마 자체보다도

그런 테마를 타고 꾸준히 올라갈 수 있느냐인데 

 

그것은 결국 '타이밍' 과 연관됩니다. 

 

추세추종의 관점에서 보면 위 종목들은 하락추세에서 가벼운 움직임으로 몇번 올랐다가 이후 하락하는 모양새이지 지속적인 상승 추세라고 판정하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종목들 내에서도 오전에 들어오는 수급을 확인후 단타로 빠르게 먹고 나오는 분들도 있으시겠지만

 

저는 짧게는 2일에서 길게는 2-3주정도 들고가는 스타일이라

이 종목들을 꼭 '수익을 봐야지' 하고 종목을 서치하지는 않았습니다.

 

다만 이번에 테마로 올라간 종목들이 무엇이 있을까 단순 호기심 차원에서 조사했습니다. 

 

위 글이 유익하셨다면 좋아요 (하트 아이콘 클릭) 부탁드립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