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5

방송통신대 <데이터베이스시스템> 기말고사 대비 총정리

방통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교수님께서 무려 '연습문제'를 강의 시간을 할애해서 올려주셨기 때문에 그 두 강의는 무조건 듣고 난 뒤 정리를 진행해야합니다.  기출과 , 연습문제 강의를 듣고 난 뒤 내용을 정리해봤습니다.  저작권과 관계없는 (인터넷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내용들을 키워드 위주로 정리했고, 강의 자료및 강의를 일부 참고하여 서술했습니다. 관련하여 저작권 문제될시 언제든지 비공개 처리 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강의 교안과 교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개념에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양해바랍니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목차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관계형 모델     SQL 정규화데이터 저장과 파일인덱싱해싱과 특수 인덱스트랜잭션동시성 제어회복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모델링데..

방송통신대학교 <디지털 논리회로> 1학기 중간 기말고사 대비 총정리 #2

방통대 디지털 논리회로 이전 포스팅에 이어서 이번에는 조합논리회로와 순서논리회로에 대해 다룹니다. 해당 부분에서 사실 완전히 이해하진 못했었습니다.  다만 시험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거론되는  플렉서들의 종류, 조합논리회로(저장장치 없음) 순서논리회로(저장장치 있음) 각각의 종류에 따른 특성과 그 종류에 무슨 장치들이 있는지 위주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목차 : 조합논리회로: 순서논리회로: 레지스터와 카운터: 기억장치와 PLD조합논리회로와 순서논리회로 조합논리회로입출력을 가진 논리게이트의 집합 가산기와 감산기반가산기 (2비트 가산기)S(합) C(올림수) 로 구성된 반 가산기X xor Y 로 이루어진 S 와 X and Y 로이루어진 C로 구성됨  전가산기 (3비트 가산기)X xor Y xor Z 로 S를 ..

방송통신대학교 <디지털논리회로> 1학기 중간 기말 고사 대비 총정리 #1

방통대 디지털 논리회로 중간 출석수업을 실수로 듣지 못해 (다른 시간으로 옮기려다가 옮기고 난 후 다시 돌릴 수 있는 걸 알아서 이것저것 건들다가 대체시험으로 신청해버렸고.. 취소가 안되었음)  대체시험을 보게 되었습니다.  기말고사 전에 대체시험을 보는 장점은그래도 그 과목을 한 번 더 리뷰하게 된다는 점인것 같습니다.  공부하시는 분들에게 그래도 전부는 아니더라도 약간의 기억을 상기시킬 수 있는 정도로 시험 100% 대비는 아니지만 내가 부족한 부분을 점검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해 보았습니다. (공부하며 지속 추가 예정) 이번 포스팅에서는 아래 목차의 첫 세 개 부분에 해당하는 내용을 담아보았고 총 세 개의 포스팅으로 작성할 예정입니다.   목차 : 컴퓨터와 디지털 논리회로 및 데이터 표현: 논리게..

<데이터베이스시스템> ERD(E-R 다이어그램) 만들어보기/ ER다이어그램 만드는 툴 추천 / 사상수, 참가제약조건 /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과정

방통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과제로 ERD 만드는 게 주어져서 다시 복습겸 정리를 하고 있다. 강의에서 다루어 주시긴했는데 여러번 들어도, 들을때만 이해가가고 강의 끝나면 기억에 남는게 없어서 스스로 정리해보았다. 우선 기본적인 ERD 의 개념 부터 알아보기 전에 데이터 베이스 모델링 과정에 대해 알아보자. 데이터 베이스 모델링 과정 사용자 요구분석 부터 시작해서 내부 스키마까지 데이터 베이스의 구조를 짜는 일련의 과정을 데이터 베이스 모델링 과정이라고 한다. 그 중 우리가 오늘 다뤄볼 ER 모델 의 경우 해당 단계 중 과정에 속한다. (개논물 개논물 하면서 외웠는데 간단하게 보면 / 요구분석 - 개념 - 논리 - 물리 - 내부스키마 / 이렇게 이뤄지는 과정 중 개념적~ 단계를 오늘 다루는 것이다) 실세계..

<디지털 논리회로> 8강 : 디코더 인코더 / 멀티플렉서 디멀티플렉서 궁금증

우선 인코더는 7강에서 다루었는데 8강에 들어와서 디코더 설명하시는 부분에서 왜 이런 모양이 나오는건지 이해를 잘 못해서 이런 저런 서치를 통해 정보를 모아보았다. 인코더와 디코더의 의미 우선 인코더는 '부호화' 이다. 글자그대로 들어온 데이터를 다른 형태로 가공해서 전송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개발되었다. 단순히 정보전달 시의 '암호'화 뿐 아니라 RGB 데이터를 이진 형태로 변환하는 것 모두 인코더의 역할이다. 아마 예전에 컴퓨터에서 다운로드 받은 영상들을 MP3나 전자사전 등 다른 플랫폼의 기기에 넣으려면 인코딩을 돌렸던 기억들이 20대 중반 이후라면 있을 것이다. 이런 것처럼 특정 인풋을 특정 아웃풋으로 변환하는 모든 과정이 인코딩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