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이산수학

선형대수 2강 / 행렬 및 가우스 소거

Entkommen 2024. 9. 3.
728x90

 

<학습 목표> 

 

행렬과 관련된 용어

일차연립방정식을 행렬로 

기본행연산

행제형 , 소거행제형 행렬

가우스 소거법, 가우스 - 조르단 소거법

 


 

벡터를 여러개 배열하면 행렬

벡터는 n차원 벡터가 있음

 

 

일차연립방정식을 행렬로 표현할 수 있음

 

Ax = B 

계수들을 뜯어서 A 행렬

미지수들을 세로로 배열 x 

 

가우스 소거법(전 시간에 다룬 소거법) 을 활용해서 행렬로만 간편히 표현할 수 있음

 

그러한 연산법을 기본행 연산이라고 함

- 기본행연산에는 세종류가 있음 

 

연산이 간편해지는 모양을 가진 행렬을 행제형 행렬이라고 함. 

 

가우스 소거법

가우스 - 조르단 소거법

 

행렬

행과 열로 구성되는 사각형 형태의 수의 배열 

 

행(가로) 열(세로) 

 

계수행렬 x 미지수행렬 = 상수행렬 

의 형태로 n원 일차연립방정식을 표현한 것

 

AX =  B 

 

계수행렬과 상수행렬을 붙여놓은 것은 확대행렬 (A바B 로표현) 

 

마지막 결과물 행제형 행렬. 

 

기본행 연산

 

방정식에 관한 기본연산 => 기본행 연산

 

(두 방정식의 교환 ) 

=> 두 행을 교환할 수 있다. 

기호 : R i, j 

 

(0이 아닌 임의의 상수를 곱한다)

=> 한 행에 0이 아닌 임의 상수를 곱한다. 

기호 : Ri (c)

 

(어떤 방정식에 임의의 상수를 곱해서 다른 방정식에 더한다)

=> 한 행에 임의의 상수를 곱해서 다른 행에 더한다 

기호 : R i,j (c) 

 

위와 같이 기호로 표현할 수 있다. 

 

A에 여러 번의 기본 행 연산을 적용해서 행렬 B가 나올 수 있다면 

A와 B는 row-equivalent 행 상등 하다고 하다. 

 

 

theorum : L1, L2 (일차연립방정식) 의 확대행렬 A, B가 행상등하면. 두 일차연립방정식은 상등하다. 

 

 

행제형행렬 

(사다리 제) 

row echelon matrix 

1. 영행이 있다면 그것은 영행이 아닌 행의 아래에 있다. 

2. 영행이 아닌 행의 첫번째 0이 아닌 원소를 '선도원소' , 모든 선도원소는 1이다. 

3. 영행이 아닌 연속된 두 행이 있어 각각 i번째 행과 i+1번째 행이라 할때 i번쨰 행의 선도원소는 i+1번째 행의 선도원소보다 왼쪽에 있다. 

 

소거행제형행렬

위 세가지 조건에 

+ i 번쨰 행의 선도 원소가 j번째 열에 있다면 , j 번째 열의 다른 모든 원소는 0이다. 

 

0 1 2 6      

0 0 1 4    3번열의 2 때문에 안됨. R 2,1 (-2) 해야함. (2번행에 -2 를 곱한 후 1번째 행에 더함)

0 0 0 0 

 

결과적으로  0 1 0 -2

                    0 0 1  4

                    0 0 0  0

 

영행렬은 행제형이면서, 소거행제형이다. 

 

 

소거행제형, 행제형 구분하기 

 


 

가우스 소거법

 

기본행연산을 통해 구한 '행제형 행렬' 을 구한 후 '후진대입법 사용

 

가우스 조르단 소거법

 

소거행제형 행렬을 구한후 "바로" 해를 구함

 

 

<가우스 소거법>

 

1 2 1 7    =>  R1,3(-2) =>  1 2 1 7  =========> R2,3(4) ==> 1 2 1 7  

0 1 1 3                               0 1 1 3                                            0 1 1 3

2 0 -1 4                              0 -4 -3 -10                                      0 0  1 2

 

(확대행렬)  ================================== > (행제형행렬)             

 

결과물의 행제형 행렬에서 z가 바로 2로 나옴. 후진대입법으로 y도 구하고 x도 구함

 

 

<가우스 -조르단 소거법> 

                                  

위 과정에서 더 나아가 소거행제형을 만들어줌 

 

R3,2 (-1)                                                     1 0 0 3 

그리고       거기에  R2,1(-2) 까지 하면        0 1 0 1

R3,1(-1)                                                      0 0 1 2

 

이렇게 하면 후진대입 없이 바로 x, y, z 를 구할 수 있음 

 

 


 

연습 문제 (일부 변형 ) 

 

1 2 3 6 

0 1 -2 -1 

 

을 가우스 조르단 소거법으로 풀기 

 

이미 선도원소 1인 상태로 잘 배열되어 있음 . 행제형임

소거행제형만 만들어주면 됨 

 

R 2, 1(-2) 하면 

 

1 0  7  8 

0 1 -2 -1

 

소거행제형이라고 할 수 있음

(행제형에다가 , 선도원소가 있는 열 위아래로 비어있음) 

 

풀다가 보니 뭔가 이상했는데 '자유변수' 라는 개념이 나옴 

 

Chat GPT에게 물어보니 다음과 같은 답을 얻을 수 있었음 

 

가우스-조르단 소거법을 이용하여 주어진 확대 행렬에서 연립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하겠습니다.

주어진 확대 행렬:

\[
\begin{pmatrix}
1 & 2 & 3 & 6 \\
0 & 1 & -2 & -1 \\
\end{pmatrix}
\]

### 1. 행렬의 형태 이해하기

이 행렬은 다음과 같은 연립 방정식 시스템을 나타냅니다:

\[
\begin{aligned}
1x_1 + 2x_2 + 3x_3 &= 6 \\
0x_1 + 1x_2 - 2x_3 &= -1 \\
\end{aligned}
\]

즉, 두 개의 식으로 이루어진 3개의 변수를 포함한 연립 방정식입니다.

### 2. 가우스-조르단 소거법 적용

가우스-조르단 소거법의 목표는 행렬을 **단위행렬**(Identity Matrix)의 형태로 변환하여 해를 직접 구하는 것입니다.

#### Step 1: 첫 번째 피벗은 이미 1
첫 번째 피벗 원소는 이미 1입니다(행렬의 \(a_{11}\) 위치에 있는 값). 따라서 첫 번째 행에서 추가 작업은 필요 없습니다.

\[
\begin{pmatrix}
1 & 2 & 3 & 6 \\
0 & 1 & -2 & -1 \\
\end{pmatrix}
\]

#### Step 2: 두 번째 피벗도 이미 1
두 번째 피벗(두 번째 행, 두 번째 열의 값)도 이미 1입니다. 역시 추가 작업이 필요 없습니다.

#### Step 3: 피벗 열을 제외한 다른 열들을 0으로 만들기
이제 두 번째 행의 피벗 열을 제외한 위쪽 행을 0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즉, 첫 번째 행의 두 번째 열을 0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두 번째 행의 2배를 첫 번째 행에서 빼줍니다:

- 첫 번째 행 = 첫 번째 행 - 2 * 두 번째 행

\[
\begin{pmatrix}
1 & 2 & 3 & 6 \\
0 & 1 & -2 & -1 \\
\end{pmatrix}
\quad \longrightarrow \quad
\begin{pmatrix}
1 & 0 & 7 & 8 \\
0 & 1 & -2 & -1 \\
\end{pmatrix}
\]

이제 행렬이 상삼각행렬의 형태로 되었고, 추가적으로 가우스-조르단 소거법의 결과로 단위행렬이 만들어졌습니다.

### 3. 해 구하기
이제 이 행렬에서 연립방정식의 해를 구할 수 있습니다. 행렬은 다음과 같은 두 개의 방정식을 나타냅니다:

\[
\begin{aligned}
x_1 + 7x_3 &= 8 \\
x_2 - 2x_3 &= -1 \\
\end{aligned}
\]

#### 자유변수 선택
여기서 \(x_3\)는 **자유변수**입니다. 즉, \(x_3 = t\)라고 두고 해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 방정식 풀이:
1. \(x_1 = 8 - 7t\)
2. \(x_2 = -1 + 2t\)
3. \(x_3 = t\)

### 4. 일반 해 구하기
따라서 이 연립방정식의 해는 다음과 같이 매개변수 \(t\)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
\begin{aligned}
x_1 &= 8 - 7t \\
x_2 &= -1 + 2t \\
x_3 &= t \\
\end{aligned}
\]

즉, 해의 집합은 다음과 같습니다:

\[
\mathbf{x} = \begin{pmatrix} x_1 \\ x_2 \\ x_3 \end{pmatrix} = \begin{pmatrix} 8 \\ -1 \\ 0 \end{pmatrix} + t \begin{pmatrix} -7 \\ 2 \\ 1 \end{pmatrix}
\]

여기서 \(t\)는 임의의 실수입니다.

### 결론

가우스-조르단 소거법을 사용하여 주어진 연립방정식의 해를 구한 결과는 매개변수 \(t\)에 따라 표현되는 무수히 많은 해입니다. 이는 **자유변수** \(t\)에 의해 나타나는 해로, 해의 일반형은 위에서 구한 것처럼 두 벡터의 선형 결합으로 나타납니다.

728x90

'CS > 이산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형대수> 3강  (0) 2024.09.13
<선형대수 1강> 머신러닝 하는데 이거 모르면 간첩.  (0) 2024.08.26